MySQL 15
-이 글은 생활코딩 '이고잉'님의 데이터베이스 강좌를 정리한 글 입니다. -
15. 인터넷과 데이터베이스
mysql은 내부적으로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 되어있다.
datavase server 에 관해 이야기 하겠다
질문. 인터넷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최소 몇대 필요 할까?
정답. 2대 이다
인터넷의 의미는 흩어져 있는 컴퓨터들이 연결되면서 컴퓨터의 사회가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역사적인 순간이다
2대의 컴퓨터가 어떻게 구동되는지 보자
한대의 컴퓨터는 (WEB Browser) 가 설치되어있다. 여러분은 웹브라우저에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고 엔터를 친다
그러면 도메인주소가 있는 컴퓨터로 찾아간다 어떻게? 마법이다 알면 기술 모르면 마법
이처럼 요청 하는 쪽이 있고 응답하는 쪽이 있다.
client(요청하는쪽) / server(응답하는쪽) 로 나뉘어진다.
client - 서버에게 정보를 요청할때 client 에 설치되어있는 것은 웹브라우저 / web client 라고 한다.
server - 서버에서는 web server 가 설치 되어있다.
database 도 마찬가지
mysql을 설치하게되면
우리컴퓨터에는 두개가 설치된다.
database client / database server 이다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지 않고는 절대 database server에 접속할 수 없다
우리는 알게모르게 사용하고 있었다
mysql 로그인 을 해보게되면
welcometo mysql moniter 라고 표시 되어있다.
기본 클라이언트가 mysql moniter 이다.
또 다른 클라이언트는 mysql workbench 가 있다.
데이터 베이스 클라이언트 두개를 쓰는 순간에 조금더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폰노이만 이라는 컴퓨터를 만든 엔지니어겸 과학자 의 말 이 있다.
수학천재였는데 어떻게 그렇게 잘하는가?
'수학은 이해하는게 아니라 익숙해지는 것이라네 '
제가 생각하기에 우리의 목표는 이해가 아니다 물론 과학은 이해지만
우리는 공학 내지 공부하는 것 이다.
제가 생각하기에 공부의 목표는 이해가 아니라 익숙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익숙해지는 것을 위한 여러가지 방법중에 하나가 이해 이고 암기라고 생각한다
우리 웹브라우저 추상적인가? 아니다.
매일같이 사용하니깐 물질 처럼 느껴지는 환상적인 것이 된다.
MySQL도 마찬가지 이다
겁먹지 말자
우리가 배운 mysql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통해 전세계에 수많은 컴퓨터들이 접속할 수 가 있게된다
우리는 지금 엄청난 것을 배우고 있다